본문 바로가기
재테크&투자

트럼프發 관세 폭탄, 글로벌 증시를 흔들다 | 피해 산업‧국가 총정리 & ‘버티는 주식’ 리스트

by CrunkyCampos 2025. 4. 25.
반응형

2025년 4월, 도널드 트럼프 전(前) 대통령이 “미국 우선”을 외치며 10~25%의 전면 관세를 전격 발효했다. 그 후폭풍은 단순한 무역 데이터를 넘어 주식시장과 글로벌 공급망 전체로 확산 중이다. 이번 글에서는 ① 어떤 산업과 국가가 직격탄을 맞았는지, ② 누가 의외로 잘 버티는지, ③ 전문가들은 성장 경로를 어떻게 재해석하는지를 깊이 있게 살펴본다.


Ⅰ. 관세 충격, 가장 크게 손해 본 산업·국가

산업(대표 종목) 왜 타격? 피해 지표·사례


피해 국가
• 중국 – 즉각 보복 관세·희토류 수출쿼터 축소
• EU – 철강·알루미늄 맞대응, 美산 농축산물 관세 card 꺼냄 
• 한국 – 반도체·배터리 ‘샌드위치’ 우려, 對美 수출품 25% 적용 사례 다수 

Ⅱ. 그럼에도 ‘강철 멘탈’로 버티는 종목 5
1. Caterpillar – IRA(인플레이션감축법) 수혜로 美 내 건설장비 수요 급증
2. Lockheed Martin – 국방예산 증액: 관세와 무관한 매출 방어
3. ExxonMobil – 유가 랠리 덕에 관세 충격 상쇄
4. Costco – PB(자체 브랜드) 확대, 가격 전가력 유지
5. Nvidia – AI 수요 불변, 단기 조정 후 실적 ‘어닝 서프라이즈’ 전망

Ⅲ. 전문가 시선: “성장 궤도는 바뀌지만 끝난 건 아니다”
• PIIE(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) – 관세 총액 790억 달러→美 GDP –1.2%p 
• 연준(Fed) 쿠글러 이사 – “인플레 진정 둔화, 금리 인하 시계 멀어질 수도” 
• JP Morgan – “글로벌 공급망 재편 수혜주는 ‘친미(親美) 제조국’·로컬 팹리스”
• Oxford Economics – “장기적으로는 보호무역→생산 On-shoring→CAPEX(설비투자) 확대”

요약하자면, “성장은 느려질 뿐 멈추지 않는다. 변수는 금리·보복 관세의 강도다.”

Ⅳ. 실전 TIP – 투자 생존 전략
1. 분산: 국가·통화·업종 다층 분할
2. 실물 헤지: 에너지·농산물 ETF 부분 편입
3. 현금 비중 10~20% 유지, 기회 매수 대비
4. 무역 긴장 수혜주(로컬 인프라, 국방, AI 서버) 체크

결론

관세 전쟁은 위험이자 기회다.“변동성 = 프리미엄”이라는 원칙을 기억하자.
학습하고 분산하며, 큰 그림을 놓치지 않는다면 우리는 이번 파고도 넘어설 수 있다.

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하며!! 아자아자!!

반응형